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4.04 (금)

  • 구름조금속초5.8℃
  • 구름조금1.1℃
  • 구름조금철원0.2℃
  • 맑음동두천3.5℃
  • 맑음파주0.4℃
  • 맑음대관령-3.0℃
  • 구름조금춘천2.6℃
  • 박무백령도3.9℃
  • 구름조금북강릉5.0℃
  • 구름조금강릉5.4℃
  • 맑음동해6.5℃
  • 연무서울6.3℃
  • 박무인천6.0℃
  • 구름많음원주4.9℃
  • 맑음울릉도4.3℃
  • 박무수원3.9℃
  • 맑음영월2.8℃
  • 구름많음충주5.5℃
  • 맑음서산1.4℃
  • 맑음울진6.7℃
  • 연무청주7.0℃
  • 연무대전7.7℃
  • 구름많음추풍령5.0℃
  • 맑음안동2.3℃
  • 구름많음상주3.9℃
  • 맑음포항5.2℃
  • 구름조금군산5.3℃
  • 구름조금대구4.1℃
  • 박무전주7.3℃
  • 맑음울산3.5℃
  • 맑음창원5.8℃
  • 연무광주7.0℃
  • 맑음부산6.7℃
  • 맑음통영5.6℃
  • 박무목포5.3℃
  • 맑음여수7.5℃
  • 박무흑산도5.1℃
  • 맑음완도4.6℃
  • 맑음고창1.7℃
  • 맑음순천2.2℃
  • 박무홍성(예)5.1℃
  • 구름많음5.2℃
  • 구름많음제주6.9℃
  • 구름조금고산8.3℃
  • 맑음성산6.9℃
  • 구름조금서귀포8.0℃
  • 맑음진주2.7℃
  • 맑음강화5.7℃
  • 구름조금양평5.2℃
  • 맑음이천5.6℃
  • 맑음인제1.1℃
  • 구름많음홍천3.0℃
  • 맑음태백-1.4℃
  • 맑음정선군0.5℃
  • 맑음제천0.8℃
  • 구름조금보은3.0℃
  • 구름조금천안3.2℃
  • 맑음보령2.7℃
  • 흐림부여6.8℃
  • 흐림금산7.5℃
  • 흐림6.0℃
  • 구름많음부안5.4℃
  • 구름많음임실6.0℃
  • 구름조금정읍4.6℃
  • 맑음남원6.0℃
  • 흐림장수6.0℃
  • 맑음고창군2.4℃
  • 맑음영광군3.2℃
  • 맑음김해시4.7℃
  • 맑음순창군4.0℃
  • 맑음북창원6.4℃
  • 맑음양산시4.1℃
  • 맑음보성군4.5℃
  • 맑음강진군2.9℃
  • 맑음장흥1.4℃
  • 맑음해남0.8℃
  • 맑음고흥3.5℃
  • 맑음의령군2.9℃
  • 구름조금함양군5.0℃
  • 맑음광양시6.6℃
  • 맑음진도군2.5℃
  • 맑음봉화-1.5℃
  • 맑음영주1.3℃
  • 구름많음문경2.9℃
  • 맑음청송군-0.8℃
  • 구름조금영덕2.9℃
  • 맑음의성0.9℃
  • 맑음구미3.9℃
  • 맑음영천1.1℃
  • 맑음경주시1.1℃
  • 구름많음거창4.8℃
  • 맑음합천4.6℃
  • 맑음밀양3.6℃
  • 맑음산청3.6℃
  • 맑음거제5.4℃
  • 맑음남해6.4℃
  • 맑음3.5℃
기상청 제공
한빛4호기 부실공사의 교훈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피니언

한빛4호기 부실공사의 교훈

KakaoTalk_20181026_162856239.jpg

지금껏 한빛원전은 원전의 안전성에 대해 의심할 여지가 없다는 주장을 펴왔다.

현재도 마찮가지다. 지난 민관합동조사단 7차회의에서 전휘수 한수원 부사장은 격납건물의 안정성은 건물 내부에 가압 실험시 기준치를 충족 했기 때문에 안전 하다는 주장을 폈다. 하지만 테스트는 테스트일 뿐이다.

실제 원자로의 방사능가스가 누출되어 격납건물의 천장이 날아갈 수 있는 가능성은 분명 남아 있다. 이유는 격납건물에 이미 많은 공극이 있기 때문이다.

지난 국감 때에는 한수원 사장이 한빛원전 4호기의 격납건물 부실공사도 인정 했다. 공극이 발생될 가능성을 알고 있으면서도 보강재를 남겨두는 설계서를 하루 만에 승인한 이력이 언론을 통해 공개 되기도 했다.

고준위핵폐기물을 건식 저장한다는 것에 가장 불안한 점이 바로 이 부실공사다.

한수원측 입장에서 공기 하루를 단축시킬수록 많은 돈이 절약 된다. 무엇보다 한빛원전의 고준위핵폐기물 저장 용량이 2025년 경 가득 찰 전망이라 하루 빨리 고준위핵폐기물의 건식저장이 요원한 상황이다. 이 시간싸움에 한수원이 또 어떠한 부실을 저지를지 이제는 믿을 수 없는 상황이다. 4호기 격납건물의 안정성 확보 보다 재가동을 위한 증기발 생기 교체가 우선이라는 장사치의 논리가 우선이기 때문이다.

또한 고준위핵폐기물을 부지내에 임시로 저장 했다가 영구처리시설이 만들어지면 옮겨 가겠다는 말도 신뢰가 떨어진다.

현재까지 고준위핵폐기물의 안전한 처리가 땅속에 묻는 방법 외에 별다른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마땅한 부지를 선정 한다 해도 공사기간이 오래 걸리고 공사 과정 중에서 불가피한 사유로 해당 부지가 전면 취소될 가능 성도 있으며 무엇보다 부지 선정에 있어 국민 여론의 반대도 극복해야 한다.

진정 한수원이 원자력의 지속성을 유지 하려 한다면 지금 당장 4호기의 재가동을 위한 준비보다 민관합동조 사단의 조사를 적극 도와 안전성을 확보해 나가려는 의지를 보여 주어야 할 것이다.

돈을 쥐어주는 것이 아닌 안전성에 대한 지역민의 신뢰를 바탕으로 상생해 나갈수 있기를 기대 한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