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4.03 (목)

  • 맑음속초7.6℃
  • 맑음5.1℃
  • 맑음철원5.3℃
  • 맑음동두천5.9℃
  • 맑음파주6.4℃
  • 흐림대관령2.2℃
  • 맑음춘천5.4℃
  • 맑음백령도8.2℃
  • 구름많음북강릉7.8℃
  • 구름많음강릉8.1℃
  • 구름많음동해9.4℃
  • 맑음서울8.1℃
  • 맑음인천7.3℃
  • 구름많음원주3.3℃
  • 구름많음울릉도7.3℃
  • 맑음수원8.3℃
  • 흐림영월3.8℃
  • 흐림충주4.4℃
  • 맑음서산8.1℃
  • 구름많음울진9.3℃
  • 박무청주4.1℃
  • 맑음대전8.4℃
  • 맑음추풍령6.3℃
  • 맑음안동7.3℃
  • 흐림상주3.6℃
  • 구름많음포항10.0℃
  • 구름많음군산8.3℃
  • 박무대구7.5℃
  • 박무전주8.3℃
  • 구름많음울산9.6℃
  • 구름조금창원9.4℃
  • 맑음광주8.9℃
  • 맑음부산11.5℃
  • 맑음통영9.6℃
  • 흐림목포7.7℃
  • 맑음여수8.6℃
  • 흐림흑산도6.7℃
  • 구름많음완도9.3℃
  • 맑음고창8.4℃
  • 맑음순천8.3℃
  • 박무홍성(예)7.6℃
  • 구름많음4.2℃
  • 흐림제주11.1℃
  • 구름많음고산9.7℃
  • 맑음성산11.0℃
  • 맑음서귀포12.3℃
  • 맑음진주8.5℃
  • 맑음강화8.1℃
  • 흐림양평3.6℃
  • 흐림이천3.6℃
  • 맑음인제3.4℃
  • 구름조금홍천5.5℃
  • 구름많음태백4.6℃
  • 구름많음정선군4.2℃
  • 흐림제천3.0℃
  • 맑음보은4.3℃
  • 맑음천안5.9℃
  • 맑음보령8.3℃
  • 맑음부여7.7℃
  • 맑음금산7.1℃
  • 맑음7.4℃
  • 구름조금부안8.7℃
  • 맑음임실7.7℃
  • 구름조금정읍8.5℃
  • 맑음남원8.9℃
  • 맑음장수6.1℃
  • 맑음고창군8.5℃
  • 구름많음영광군8.7℃
  • 맑음김해시9.1℃
  • 맑음순창군7.9℃
  • 구름조금북창원9.2℃
  • 맑음양산시10.0℃
  • 맑음보성군10.1℃
  • 구름조금강진군9.6℃
  • 맑음장흥9.4℃
  • 흐림해남8.1℃
  • 맑음고흥9.8℃
  • 구름조금의령군8.5℃
  • 맑음함양군7.6℃
  • 맑음광양시11.0℃
  • 흐림진도군7.9℃
  • 맑음봉화6.7℃
  • 맑음영주6.0℃
  • 구름많음문경6.7℃
  • 맑음청송군8.0℃
  • 맑음영덕10.8℃
  • 구름조금의성5.4℃
  • 구름많음구미5.3℃
  • 구름많음영천5.9℃
  • 구름많음경주시9.0℃
  • 맑음거창6.1℃
  • 맑음합천7.8℃
  • 맑음밀양7.6℃
  • 맑음산청7.1℃
  • 맑음거제9.3℃
  • 맑음남해8.7℃
  • 맑음10.3℃
기상청 제공
우리 집 소방관, ‘소화기’사용 가능한가요?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 집 소방관, ‘소화기’사용 가능한가요?

날씨가 추워지고 건조한 요즘, 가정집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화재 발생 후 119에 신고한 뒤 소방차가 오기까지는 적어도 5분이 소요된다.

소방차가 도착하기 전에 비치되어 있던 소화기로 초기진화를 시도한다면 아마도 소방차 한 대와 버금가는 소화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소화기의 중요성을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홍보 및 비치하고 있지만, 이 소화기가 “사용 가능한지, 사용기간은 언제까지인지에 관해서는 관심을 두지 않는 것 같다.

   

우선 소화기의 내용연수는 10년이다. 즉, 2008년 이전 생산된 분말소화기는 내용연수 10년이 지나 사용이 불가하므로 교체하거나 한국소방산업기술원에 성능 확인 검사를 의뢰하여 사용기한을 연장해야만 한다.

사본 -김갑선.jpg
▲함평119안전센터 김갑선

소화기는 항상 압력으로 축압되어 있기 때문에 소화기 몸통 부식 등으로 내부압력을 이기지 못하면 폭발할 수 있다. 실제로 2013년에 노후 소화기로 화재진화 도중 소화기가 폭발해 그 충격으로 사망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소화기에 달려있는 압력게이지를 틈틈이 확인해야 한다. 압력게이지가 초록색 눈금 안에 위치하고 있으면 사용 가능하지만, 지시압력계가 초록색 영역에서 너무 많이 벗어나 있다면 다시 축압하거나 교체하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관 장소로는 주택의 현관이나 거실 등 눈에 잘 띄는 곳에 비치해 두고, 직사광선이나 습기가 많은 곳은 될 수 있으면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한 달에 한 번씩 거꾸로 뒤집어서 흔들어 주면 안에 분말이 굳지 않게 되어 오래 동안 사용할 수 있다.

 

만약, 가정에서 사용하는 소화기가 오래되거나 사용할 수 없는 상태일 경우 가까운 소방서로 가져오면 확인 점검 후 무료로 폐기를 해 주고 있다.

 

우리의 가족을 지켜주는 우리 집 작은 소방관 ‘소화기’사용 가능한지, 노후 되지는 않았는지 지금 확인 해 보기 바란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