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학교-산업체 연계교육.png

2024.09.08 (일)

  • 맑음속초21.7℃
  • 맑음20.5℃
  • 맑음철원20.4℃
  • 구름조금동두천21.6℃
  • 맑음파주20.6℃
  • 맑음대관령16.2℃
  • 맑음춘천21.7℃
  • 맑음백령도21.6℃
  • 맑음북강릉20.7℃
  • 맑음강릉21.7℃
  • 구름조금동해22.9℃
  • 맑음서울24.8℃
  • 구름조금인천24.3℃
  • 맑음원주22.7℃
  • 구름조금울릉도22.7℃
  • 박무수원23.1℃
  • 구름많음영월21.9℃
  • 구름조금충주22.5℃
  • 맑음서산21.9℃
  • 구름조금울진23.4℃
  • 구름많음청주25.8℃
  • 맑음대전24.7℃
  • 구름조금추풍령22.8℃
  • 구름많음안동23.7℃
  • 구름많음상주24.0℃
  • 구름많음포항24.9℃
  • 맑음군산23.2℃
  • 흐림대구25.4℃
  • 맑음전주25.1℃
  • 박무울산25.4℃
  • 구름많음창원26.8℃
  • 구름많음광주24.7℃
  • 흐림부산27.5℃
  • 구름많음통영26.8℃
  • 맑음목포24.2℃
  • 구름조금여수26.9℃
  • 맑음흑산도23.1℃
  • 구름조금완도24.9℃
  • 구름조금고창22.1℃
  • 맑음순천22.2℃
  • 박무홍성(예)22.0℃
  • 구름조금22.0℃
  • 맑음제주27.6℃
  • 구름조금고산26.3℃
  • 구름조금성산25.2℃
  • 맑음서귀포27.1℃
  • 구름많음진주25.7℃
  • 맑음강화20.8℃
  • 구름조금양평22.8℃
  • 구름많음이천22.3℃
  • 맑음인제19.4℃
  • 맑음홍천20.9℃
  • 구름많음태백20.9℃
  • 구름조금정선군21.2℃
  • 구름조금제천21.6℃
  • 구름조금보은23.0℃
  • 맑음천안22.1℃
  • 맑음보령22.2℃
  • 맑음부여22.5℃
  • 맑음금산23.2℃
  • 구름조금23.5℃
  • 구름조금부안22.9℃
  • 맑음임실23.5℃
  • 맑음정읍23.0℃
  • 맑음남원24.2℃
  • 맑음장수21.5℃
  • 맑음고창군21.8℃
  • 구름조금영광군22.3℃
  • 구름많음김해시26.4℃
  • 맑음순창군24.4℃
  • 흐림북창원28.0℃
  • 구름많음양산시27.0℃
  • 구름조금보성군24.4℃
  • 맑음강진군24.3℃
  • 맑음장흥24.4℃
  • 맑음해남23.2℃
  • 구름조금고흥24.5℃
  • 구름많음의령군25.3℃
  • 구름조금함양군24.1℃
  • 구름많음광양시25.7℃
  • 맑음진도군22.4℃
  • 구름많음봉화22.2℃
  • 흐림영주22.3℃
  • 구름조금문경23.2℃
  • 흐림청송군23.6℃
  • 구름많음영덕23.0℃
  • 흐림의성24.1℃
  • 구름많음구미24.2℃
  • 흐림영천24.5℃
  • 구름많음경주시24.8℃
  • 구름조금거창23.5℃
  • 구름많음합천24.2℃
  • 흐림밀양25.6℃
  • 구름많음산청23.8℃
  • 구름많음거제27.1℃
  • 구름조금남해25.1℃
  • 구름많음26.5℃
기상청 제공
영광군의 지역성을 끌어낼 수 있어야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피니언

영광군의 지역성을 끌어낼 수 있어야

지방소멸! 

2014년에 일본 민간조직이 낸 보고서에서 시작된 표현이라고 합니다. 단어가 주는 위기감 때문인지 인구 고령화와 저출산에 따르는 지역 문제를 말할 때 자주 인용이 되는데, 이것이 적절한 단어인지는 고민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소멸은 흔적이나 자국을 남기지 않고 사라지는 것이죠. 또 존재 자체를 기억에서 지워 처음부터 없었던 것으로 만들어 버리는 것입니다. 소멸이라는 단어는 그 대상이 되는 지방 소도시와 시골에 박탈감을 안깁니다. 어딘가로부터 배제되고 소외당하는 자의 상실감이란 직접 겪어보지 않으면 알기 어렵습니다.

불현듯 2020년 2월, 코로나 확진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지역이 봉쇄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당시 두려움과 공포심이 떠오릅니다.

자극적인 단어보다는 문제를 정확하게 짚는 단어를 사용하는 편이 낫겠지요? 이미 소멸이라는 선동적인 표현은 지나친 위기의식을 부추겨 단기적인 보조금 대책만 남발한다는 지적도 많으니 말입니다.

전남의 인구가 줄어들고 고령화되어 가는 지역에서 사는 우리들은 청년을 이주시켜 마을에 활력을 불어 넣자는 계획을 늘 꿈꿉니다.

이런 생각은 과거에 귀농, 귀촌 바람이 불어 청년들이 우리 고향에 돌아와 농사를 짓거나 새로운 사업을 일구는 사례를 보면서 얻게 된 것 같습니다. 우리 마을의 미래는 청년에게 달려 있다는 상식이 자리 잡아가면서 그들을 위한 예산 지원도 적지 않습니다.

지자체는 청년들에게 일거리를 만들어주고 살집을 제공하기도 했습니다. 오기만 하면 많은 혜택과 기회를 주겠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자체의 홍보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 전남과 내 고향 영광으로 이주하는 청년들이 아주 많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청년들은 어떤 도시 또는 어떤 시골에서 살고 싶어 할까를 고민해 보았습니다. 저마다의 사정이야 다르겠지만 제가 만난 젊은 학생들의 생각을 상기해 봤습니다. 청년들은 한번 정착하면 빠져나오기 힘든 곳에는 가고 싶어 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는 데에 의미를 둘수록 어딘가로 들어가고 나가는 유연함은 살고 싶은 도시를 정하는 데에 중요한 선택 기준이 되는 것 같았습니다.

한 지역의 점으로 찍혀 있기보단 지역과 지역이 선으로 연결되어 자유롭고 관대하게 서로를 환대하는 상상을 해보았습니다. 그래서 무거운 철문을 달아두고 청년을 붙잡아 두려는 정책보다는 청년이 마음껏 들어오고 나갈 수 있는 열린 문 같은 정책이 세워지면 좋겠다 감히 생각해 보았습니다.

지역의 인구학적 숫자를 늘려야 하는 행정 입장에서는 주저할 일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쉽게 들어오고 나가는 플랫폼으로서의 지역이 가지는 정체성은 미래의 관광산업에도 어느 정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니 고려해 볼 만 할 것 같습니다.

어쩌면 사람들의 사고도 유연하게 흐르면서 지역의 혁신을 꾀할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우리 영광군의 풍토와 자연환경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우리 전남과 영광군의 로컬리티인 지역성을 끌어내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 어떨까 생각해 봅니다.

논과 밭을 일구며 살아가는 ‘정주’ 방식은 이동수단과 통신기술로 인해 변화하기 시작했으며 인터넷은 우리가 어디에서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냈으니 관광경영학을 전공하여 외식산업에 종사하는 저는 관광의 부가가치에 집중하며 결국 핵심은 문화의 고유성이라고 생각합니다.

세상은 지금 세계화를 향해 요동치고 있으며 이런 상황 속에 더욱더 로컬의 가치에 주목하게 될 테니까요. 세계화를 선도하는 것은 경제겠지요. 

글로벌한 문화라는 것은 없습니다. 글로벌과 로컬은 상대적 개념이 아니라 서로를 빛나게 하는 하나의 개념이라고 생각합니다. 

서울만이 답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영광군에서 가능성을 찾아야겠다는 생각도 합니다. 지자체가 지원하는 예산과 프로그램이 적지 않으니 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년들이 선뜻 지역에 머물거나 영광행을 선택하지 못하는 이유는 혹시 우리 사회가 우리의 자기결정권을 빼앗아 버린 것은 아닌지 고민하며 대학선택과 일자리 선택을 자기 스스로 고민하지 않도록 만든 구조적 문제도 지적해 볼 수 있겠지요. 

서울과 지방을 이분화하고 문화의 다양성보단 맥락 없는 보편성을 추구하는 도시정책도 심각한 문제가 아닐는지 지역에서도 가능성이 있다고 외치지만 결국 사회의 모든 욕망이 서울에 응축되어 있는 현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로컬조차 그저 유행하는 소비재쯤으로 여기며 폼내는 사람이 너무 많은가 싶기도 합니다. 그래서인지 우리 자신이 발 디딜 땅을 스스로 선택하고 원하는 일에 뛰어드는 청년의 결단력과 패기는 더욱 소중해 보이는 것이 아닐까? 함께 고민하고 우리의 자기결정권을 찾아갈 수 있길 기대합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