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4.04 (금)

  • 구름조금속초5.8℃
  • 구름조금1.1℃
  • 구름조금철원0.2℃
  • 맑음동두천3.5℃
  • 맑음파주0.4℃
  • 맑음대관령-3.0℃
  • 구름조금춘천2.6℃
  • 박무백령도3.9℃
  • 구름조금북강릉5.0℃
  • 구름조금강릉5.4℃
  • 맑음동해6.5℃
  • 연무서울6.3℃
  • 박무인천6.0℃
  • 구름많음원주4.9℃
  • 맑음울릉도4.3℃
  • 박무수원3.9℃
  • 맑음영월2.8℃
  • 구름많음충주5.5℃
  • 맑음서산1.4℃
  • 맑음울진6.7℃
  • 연무청주7.0℃
  • 연무대전7.7℃
  • 구름많음추풍령5.0℃
  • 맑음안동2.3℃
  • 구름많음상주3.9℃
  • 맑음포항5.2℃
  • 구름조금군산5.3℃
  • 구름조금대구4.1℃
  • 박무전주7.3℃
  • 맑음울산3.5℃
  • 맑음창원5.8℃
  • 연무광주7.0℃
  • 맑음부산6.7℃
  • 맑음통영5.6℃
  • 박무목포5.3℃
  • 맑음여수7.5℃
  • 박무흑산도5.1℃
  • 맑음완도4.6℃
  • 맑음고창1.7℃
  • 맑음순천2.2℃
  • 박무홍성(예)5.1℃
  • 구름많음5.2℃
  • 구름많음제주6.9℃
  • 구름조금고산8.3℃
  • 맑음성산6.9℃
  • 구름조금서귀포8.0℃
  • 맑음진주2.7℃
  • 맑음강화5.7℃
  • 구름조금양평5.2℃
  • 맑음이천5.6℃
  • 맑음인제1.1℃
  • 구름많음홍천3.0℃
  • 맑음태백-1.4℃
  • 맑음정선군0.5℃
  • 맑음제천0.8℃
  • 구름조금보은3.0℃
  • 구름조금천안3.2℃
  • 맑음보령2.7℃
  • 흐림부여6.8℃
  • 흐림금산7.5℃
  • 흐림6.0℃
  • 구름많음부안5.4℃
  • 구름많음임실6.0℃
  • 구름조금정읍4.6℃
  • 맑음남원6.0℃
  • 흐림장수6.0℃
  • 맑음고창군2.4℃
  • 맑음영광군3.2℃
  • 맑음김해시4.7℃
  • 맑음순창군4.0℃
  • 맑음북창원6.4℃
  • 맑음양산시4.1℃
  • 맑음보성군4.5℃
  • 맑음강진군2.9℃
  • 맑음장흥1.4℃
  • 맑음해남0.8℃
  • 맑음고흥3.5℃
  • 맑음의령군2.9℃
  • 구름조금함양군5.0℃
  • 맑음광양시6.6℃
  • 맑음진도군2.5℃
  • 맑음봉화-1.5℃
  • 맑음영주1.3℃
  • 구름많음문경2.9℃
  • 맑음청송군-0.8℃
  • 구름조금영덕2.9℃
  • 맑음의성0.9℃
  • 맑음구미3.9℃
  • 맑음영천1.1℃
  • 맑음경주시1.1℃
  • 구름많음거창4.8℃
  • 맑음합천4.6℃
  • 맑음밀양3.6℃
  • 맑음산청3.6℃
  • 맑음거제5.4℃
  • 맑음남해6.4℃
  • 맑음3.5℃
기상청 제공
[어바웃 아젠다 no.14] 아이 키우기 좋은 영광을 만들어 주세요.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바웃 아젠다 no.14] 아이 키우기 좋은 영광을 만들어 주세요.

NISI20220228_0018538861_web.jpg

영광군이 추진하는 청년창업·육아지원센터 착공과 관련 지역 현안으로 대두되며 지난 정례회에서 장기소 의원이 위치선정부터 잘못됐다고 지적한 육아 통합지원센터는 어느 방향으로 가야 하나를 이제는 생각해 볼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위치선정부터 다시 해야 마땅하나 별 묘수가 없으니 하드웨어가 안 되면 소프트웨어적인 문제라도 다시 생각해 보아야겠지요.

‘육아 통합지원센터’라는 이름에서 보았듯, 이 시설은 양육자의 행복에 초점을 맞춰 지원되는 종합계획으로 보입니다. 엄마·아빠의 가장 현실적인 육아 부담을 덜어주고, 양육 활동이 존중받는 우리 군 분위기를 조성해 아이 키우기 좋은 영광을 만들기 위한 계획인 걸로 보입니다. 

이 통합센터는 성장 과정에서 가장 손이 많이 가는 시기인 0~9세의 아이들을 영광군이 함께 키운다는 각오로 첫발을 내디뎠으면 좋겠습니다. 엄마·아빠들이 아이의 연령대별·상황별로 겪게 되는 어려움에 대해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시스템도 구축되어야겠지요.

하드웨어만 단단하게 건축한다고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그 안에 들어 있는 소프트웨어가 유연해야 이용자의 센터 이용 빈도도 높아지겠지요.

영광군의 경우 여성문화센터는 거의 영광군의 소수 여성만 이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 돌봄센터는 대기 줄을 최소 3개월에서 길게는 12개월도 선다고 합니다.

왜 그럴까요?

얼마 전 서울시가 발표한 ‘엄마 아빠 행복 프로젝트’시스템을 본받아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예컨대, 36개월 이하 영아는 믿고 맡길 곳이 부족해 육아가 힘들다는 의견을 반영해 ‘육아 조력자 돌봄 수당·바우처’를 신설하고, ‘영아 전담 아이돌보미’를 양성하여야 할 것이며, 영아 특화 돌봄 서비스도 확충해야겠지요.

조부모 등 4촌 이내의 친인척에게 아이를 맡기는 경우를 생각해 볼까요?

일자리 없어 시간 채우기 공공근로 하시는 어르신들이 만약 우리 아이를 통합 지원센터에서 돌보아 준다면요? 누구나 누군가의 할머니 할아버지이실 테니 돌보아 주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돌보아 줄 수 없는 아이들을 위해 만약 노인 일자리 창출이 시작될 수 있는 순환구조의 시스템을 만들 수만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요. 

또, 긴급할 때 아이를 돌봐 줄 수 있는 서비스로 ‘아픈 아이 일시 돌봄·병원 동행 서비스’를 시작해 볼 것을 제안합니다. 거점형으로 야간보육을 지원하고, 시간제 보육인 어린이집과 같은 긴급 돌봄 제공기관을 운영한다면 이용자들의 이용 빈도가 늘어나겠지요.

엄마·아빠가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존(북카페 등)을 만들고 키즈존(키즈카페), 이동이 용이하게 가족 우선 주차장, 가족 화장실(층별로 1칸 정도) 등 아이를 동반한 양육자의 외출과 방문을 반기는 환경을 조성하여, 문화 생활시간이 부족한 양육자를 위해 낮 전용 문화 프로그램의 운영을 확대도 생각해 보아야 할 부분입니다.

임산부나 맞벌이, 그리고 다자녀 가정의 손을 덜기 위한 가사 서비스도 지원한다면 아이 낳고 싶은 영광군이 머릿속에 그려집니다.

다양한 이유로 아이의 저녁, 방학 점심 등을 챙기지 못하는 부모들을 위해 삼시 세끼 틈새 지원도 시작하면 좋겠지요. 

아이의 행복을 위해 아낌없이 주고도 정작 엄마·아빠는 다각도로 힘겨운 상황에 직면해야 하는 현실의 요즘입니다. 엄마·아빠의 행복에 주목할 이유는 여기에 있지요. 인구 늘리기. 인구 늘리기... 말뿐인 정책들로는 이제 힘듭니다. 실질적인 솔루션 제공이 필요하지요.

우리 영광군의 아이들을 영광군이 함께 키운다는 마음으로 센터의 프로그램도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양육자의 부담을 덜어주고 양육자 스스로 아이 키우기 좋은 영광이라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만들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통합센터만 건립된다고 모든 것이 해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