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4.04 (금)

  • 구름조금속초5.8℃
  • 구름조금1.1℃
  • 구름조금철원0.2℃
  • 맑음동두천3.5℃
  • 맑음파주0.4℃
  • 맑음대관령-3.0℃
  • 구름조금춘천2.6℃
  • 박무백령도3.9℃
  • 구름조금북강릉5.0℃
  • 구름조금강릉5.4℃
  • 맑음동해6.5℃
  • 연무서울6.3℃
  • 박무인천6.0℃
  • 구름많음원주4.9℃
  • 맑음울릉도4.3℃
  • 박무수원3.9℃
  • 맑음영월2.8℃
  • 구름많음충주5.5℃
  • 맑음서산1.4℃
  • 맑음울진6.7℃
  • 연무청주7.0℃
  • 연무대전7.7℃
  • 구름많음추풍령5.0℃
  • 맑음안동2.3℃
  • 구름많음상주3.9℃
  • 맑음포항5.2℃
  • 구름조금군산5.3℃
  • 구름조금대구4.1℃
  • 박무전주7.3℃
  • 맑음울산3.5℃
  • 맑음창원5.8℃
  • 연무광주7.0℃
  • 맑음부산6.7℃
  • 맑음통영5.6℃
  • 박무목포5.3℃
  • 맑음여수7.5℃
  • 박무흑산도5.1℃
  • 맑음완도4.6℃
  • 맑음고창1.7℃
  • 맑음순천2.2℃
  • 박무홍성(예)5.1℃
  • 구름많음5.2℃
  • 구름많음제주6.9℃
  • 구름조금고산8.3℃
  • 맑음성산6.9℃
  • 구름조금서귀포8.0℃
  • 맑음진주2.7℃
  • 맑음강화5.7℃
  • 구름조금양평5.2℃
  • 맑음이천5.6℃
  • 맑음인제1.1℃
  • 구름많음홍천3.0℃
  • 맑음태백-1.4℃
  • 맑음정선군0.5℃
  • 맑음제천0.8℃
  • 구름조금보은3.0℃
  • 구름조금천안3.2℃
  • 맑음보령2.7℃
  • 흐림부여6.8℃
  • 흐림금산7.5℃
  • 흐림6.0℃
  • 구름많음부안5.4℃
  • 구름많음임실6.0℃
  • 구름조금정읍4.6℃
  • 맑음남원6.0℃
  • 흐림장수6.0℃
  • 맑음고창군2.4℃
  • 맑음영광군3.2℃
  • 맑음김해시4.7℃
  • 맑음순창군4.0℃
  • 맑음북창원6.4℃
  • 맑음양산시4.1℃
  • 맑음보성군4.5℃
  • 맑음강진군2.9℃
  • 맑음장흥1.4℃
  • 맑음해남0.8℃
  • 맑음고흥3.5℃
  • 맑음의령군2.9℃
  • 구름조금함양군5.0℃
  • 맑음광양시6.6℃
  • 맑음진도군2.5℃
  • 맑음봉화-1.5℃
  • 맑음영주1.3℃
  • 구름많음문경2.9℃
  • 맑음청송군-0.8℃
  • 구름조금영덕2.9℃
  • 맑음의성0.9℃
  • 맑음구미3.9℃
  • 맑음영천1.1℃
  • 맑음경주시1.1℃
  • 구름많음거창4.8℃
  • 맑음합천4.6℃
  • 맑음밀양3.6℃
  • 맑음산청3.6℃
  • 맑음거제5.4℃
  • 맑음남해6.4℃
  • 맑음3.5℃
기상청 제공
나는 예전의 옛사람이 아니다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피니언

나는 예전의 옛사람이 아니다

lider-falso.jpg

옛사람은 옛 생각을 하고 새사람은 새 생각을 한단다. 옛사람은 늙은 사람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낡은 사람일 뿐. 생각이 낡고 시대에 부합하지 않으면 필자는 옛사람이라 본다. 젊은이들도 고리타분한 낡은 인습에 젖은 새로운 시대에 걸맞지 않는 새로운 생명성이 깃들어 있지 않으면 옛사람에 속한다 생각한다.

반면 새사람은 새로운 사람이다. 늙은 사람이라도 생각이 새롭고 새 시대에 부합하면 새 사람이 아닐까? 최근 필자는 ‘나는 예전에 그 사람(옛사람)이 아니다’라고 자주 언급하는 그분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았다. 소로우는 탐하지 않는 삶에서 옛사람에게는 과거의 행위가 있듯 새 사람에게는 새로운 행위가 있다 말하지 않았는가.

예전과 달리 지금 새롭게 성공하는 사람들은 하나의 공통점을 갖는다. 그들은 권위적이거나 강함을 내세우지 않고, 온유하고 차분하며 사람들의 마음을 얻지 아니한가. ‘따뜻한 카리스마’의 소유자로 ‘싸우지 않고 이기는 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다른 사람과 더불어 잘 살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처럼 말이다.

지금의 나는 예전의 내가 아니라 말하는 사람. 겉으로는 순하고 부드럽게 보이지만, 마음속은 단단하고 굳세다는 뜻. 내강외유로 바꾸어 쓸 수 있다.

내유외강은 안은 부드럽고 겉은 굳센 데 비해, 외유내강은 겉이 부드럽고 안이 굳세다는 점에서 언뜻 정반대의 뜻을 가진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내유외강이나 외유내강 모두 안팎이 어우러져 부드러움과 강직함을 두루 갖춘 사람을 비유할 때 쓰인다.

내유외강은 겉이 듬직하고 위엄이 있어 가까이하기 어려운 사람으로 보이지만 속내는 부드럽고 다정다감해 겉모습과 전혀 다를 때 쓰인다. 한마디로 부드러움과 굳셈을 겸비한 사람을 가리킨다. 반면 외유내강은 겉으로는 부드럽고 다정해 속도 곰살궂을 것 같지만, 겉과는 전혀 다르게 듬직하고 위엄이 있어 옹골질 때 흔히 쓰인다.

역시 부드러움과 굳셈을 겸비한 사람을 뜻하는 것이지 아니한가. 지도력은 군민과의 대화를 많이 하면서도 공약을 위해 직무를 하고 현장에 가서 확인하고 사후에 평가하는 경영에서 드러난다.

나를 미워하는 그 사람들도 내 군민이라 말하는 사람. 분명한 것은 잘못된 행동을 하던 사람이 삶을 반성하고 좋은 방향으로 발전하는 모습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는 것. 두고 볼 일이긴 하지만.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