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4.04 (금)

  • 맑음속초4.6℃
  • 구름많음1.7℃
  • 맑음철원0.6℃
  • 맑음동두천2.8℃
  • 구름조금파주0.4℃
  • 맑음대관령-3.1℃
  • 구름많음춘천2.6℃
  • 박무백령도4.7℃
  • 구름조금북강릉4.1℃
  • 구름조금강릉5.0℃
  • 맑음동해5.0℃
  • 박무서울6.2℃
  • 박무인천5.9℃
  • 맑음원주3.6℃
  • 구름많음울릉도4.7℃
  • 박무수원3.6℃
  • 맑음영월2.0℃
  • 구름많음충주4.0℃
  • 맑음서산1.2℃
  • 맑음울진7.5℃
  • 연무청주6.8℃
  • 비대전7.2℃
  • 흐림추풍령4.6℃
  • 맑음안동2.9℃
  • 흐림상주3.7℃
  • 맑음포항4.7℃
  • 구름조금군산5.1℃
  • 구름조금대구4.2℃
  • 박무전주6.8℃
  • 맑음울산3.5℃
  • 맑음창원5.4℃
  • 박무광주6.2℃
  • 맑음부산6.6℃
  • 맑음통영5.3℃
  • 안개목포4.9℃
  • 맑음여수7.4℃
  • 박무흑산도4.9℃
  • 구름조금완도3.6℃
  • 맑음고창1.2℃
  • 맑음순천1.8℃
  • 박무홍성(예)4.5℃
  • 구름많음5.5℃
  • 구름많음제주6.9℃
  • 구름조금고산8.4℃
  • 맑음성산6.6℃
  • 구름많음서귀포7.7℃
  • 맑음진주3.3℃
  • 맑음강화3.4℃
  • 맑음양평4.3℃
  • 맑음이천5.0℃
  • 구름많음인제0.6℃
  • 구름많음홍천2.7℃
  • 맑음태백-1.8℃
  • 맑음정선군-0.3℃
  • 구름조금제천0.9℃
  • 구름많음보은3.0℃
  • 구름많음천안3.0℃
  • 맑음보령2.4℃
  • 구름조금부여5.8℃
  • 흐림금산7.0℃
  • 흐림6.1℃
  • 맑음부안3.8℃
  • 맑음임실4.8℃
  • 맑음정읍3.6℃
  • 맑음남원5.3℃
  • 맑음장수5.4℃
  • 맑음고창군2.5℃
  • 맑음영광군1.8℃
  • 맑음김해시4.5℃
  • 맑음순창군3.3℃
  • 맑음북창원5.9℃
  • 맑음양산시3.9℃
  • 맑음보성군3.6℃
  • 맑음강진군2.5℃
  • 구름조금장흥0.5℃
  • 구름조금해남0.2℃
  • 맑음고흥2.5℃
  • 맑음의령군2.4℃
  • 맑음함양군4.7℃
  • 맑음광양시6.7℃
  • 맑음진도군2.3℃
  • 맑음봉화-1.9℃
  • 맑음영주0.2℃
  • 구름많음문경3.1℃
  • 맑음청송군-1.4℃
  • 맑음영덕2.6℃
  • 맑음의성0.6℃
  • 맑음구미3.4℃
  • 맑음영천0.8℃
  • 맑음경주시0.9℃
  • 맑음거창4.2℃
  • 맑음합천3.9℃
  • 맑음밀양4.1℃
  • 맑음산청2.8℃
  • 맑음거제4.8℃
  • 맑음남해5.7℃
  • 맑음3.0℃
기상청 제공
해빙기 안전사고 예방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빙기 안전사고 예방

2월부터 4월 초까지는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해빙기라 얼어붙었던 지표면 기온이 높아져 토양을 형성하는 입자사이로 물이 녹아내리고 지반을 약화시킨다. 이때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면서 물이 얼어 부피가 커져 시설물의 틈새나 지표면의 틈새를 벌려 건축물의 붕괴ㆍ균열을 일으켜 안전사고의 위험을 높인다.

겨울철 뿌렸던 염화칼슘이 도로 부식을 가속화해 생기는 포트홀(Pothole)은 차량이 빠르게 지나가거나 빠질 경우 휠과 타이어가 파손되고 이를 피하기 위해 급제동이나 급격한 방향조작은 큰 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높은 해빙기를 안전하게 보내기 위한 몇 가지 수칙이 있다.

첫째, 집이나 주변 건축물의 균열이나 지반침하로 기울어졌는지 이상 징후를 살피는 것이다.

둘째, 가스시설이 풀려 가스누출이 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

셋째, 해빙기 기간에는 강가나 바닷가의 얼음이 약해져 있으므로 낚시를 갈 때에는 출입이 금지된 얼음판에는 들어가지 않아야 한다. 얼음은 가장자리로 갈수록 얇아지고 아래쪽부터 서서히 녹기에 두께를 가늠할 수 없다.

넷째, 비포장도로나 강가를 접한 도로 산악도로 등에서는 해빙으로 인해 균열이나 낙석 등의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어 통행에 주의해야 한다.

이처럼 몇가지 안전 수칙을 지키고, 사고 우려가 있는 이상 징후를 발견했을 때 관할 지자체나 119에 신고 후 안전지역으로 대피해야 한다. 그 어느 누구도 대형 사고로부터 우리를 지켜주지 못하므로 작은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