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4.03 (목)

  • 맑음속초8.3℃
  • 맑음7.7℃
  • 맑음철원9.5℃
  • 맑음동두천9.1℃
  • 맑음파주9.4℃
  • 구름많음대관령4.2℃
  • 맑음춘천7.5℃
  • 맑음백령도9.2℃
  • 구름많음북강릉8.6℃
  • 구름많음강릉8.7℃
  • 구름많음동해10.4℃
  • 맑음서울11.3℃
  • 맑음인천8.7℃
  • 구름조금원주7.2℃
  • 구름많음울릉도8.3℃
  • 맑음수원10.3℃
  • 구름조금영월6.8℃
  • 구름많음충주6.0℃
  • 맑음서산9.9℃
  • 구름많음울진10.3℃
  • 박무청주6.0℃
  • 맑음대전10.7℃
  • 맑음추풍령8.6℃
  • 맑음안동9.2℃
  • 구름많음상주4.5℃
  • 흐림포항10.9℃
  • 구름많음군산9.1℃
  • 구름조금대구9.5℃
  • 구름조금전주10.2℃
  • 구름많음울산10.1℃
  • 구름조금창원12.0℃
  • 구름조금광주11.3℃
  • 구름조금부산12.3℃
  • 맑음통영11.8℃
  • 흐림목포8.1℃
  • 맑음여수10.1℃
  • 흐림흑산도8.1℃
  • 구름조금완도11.2℃
  • 구름조금고창10.1℃
  • 맑음순천9.8℃
  • 맑음홍성(예)9.9℃
  • 맑음7.0℃
  • 구름조금제주12.0℃
  • 구름많음고산9.5℃
  • 구름조금성산11.3℃
  • 맑음서귀포14.5℃
  • 맑음진주11.3℃
  • 맑음강화9.7℃
  • 구름많음양평5.4℃
  • 흐림이천4.7℃
  • 맑음인제7.9℃
  • 맑음홍천8.0℃
  • 구름많음태백5.4℃
  • 구름조금정선군7.6℃
  • 맑음제천5.7℃
  • 맑음보은7.2℃
  • 맑음천안7.9℃
  • 구름많음보령10.4℃
  • 구름조금부여9.9℃
  • 맑음금산9.3℃
  • 맑음9.0℃
  • 구름많음부안10.8℃
  • 구름조금임실10.3℃
  • 구름조금정읍10.3℃
  • 맑음남원10.7℃
  • 맑음장수8.9℃
  • 구름조금고창군9.4℃
  • 구름많음영광군9.4℃
  • 맑음김해시11.3℃
  • 맑음순창군10.7℃
  • 구름조금북창원11.3℃
  • 구름조금양산시12.2℃
  • 맑음보성군11.0℃
  • 구름많음강진군10.7℃
  • 구름많음장흥11.7℃
  • 구름많음해남9.0℃
  • 구름조금고흥13.0℃
  • 구름조금의령군11.4℃
  • 맑음함양군10.5℃
  • 맑음광양시13.3℃
  • 흐림진도군8.2℃
  • 구름조금봉화8.7℃
  • 맑음영주8.9℃
  • 맑음문경8.0℃
  • 구름많음청송군10.8℃
  • 구름많음영덕11.7℃
  • 구름조금의성9.1℃
  • 구름조금구미8.5℃
  • 구름많음영천8.7℃
  • 구름많음경주시10.3℃
  • 맑음거창9.4℃
  • 맑음합천10.6℃
  • 맑음밀양10.6℃
  • 구름조금산청10.0℃
  • 맑음거제10.5℃
  • 맑음남해10.0℃
  • 맑음12.8℃
기상청 제공
지역에 똬리 튼 연고와 인맥이라는 “토호세력” 경로우대 해야 하나?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오피니언

지역에 똬리 튼 연고와 인맥이라는 “토호세력” 경로우대 해야 하나?

예전 시대의 언론을 그리워하는 망상은 고이 접어 두시게나~

화면 캡처 2022-03-04 110307.png

필자는 지역 언론의 취재와 보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이 ‘연고’라고 생각된다. 소유 자본이나 경영진, 광고주, 권력 등 여러 가지의 이유가 있겠지만 안면과 연고도 만만치 않은 영향을 주는 것 아닐까?

어느 한 지방에서 오랫동안 살면서 양반을 떠세할 만큼 세력이 있는 사람을 토호라 하는데, 시대를 거닐며 유일한 지역의 세력으로 군림하면서 지역의 토호세력으로 자리를 잡은 텃세라고 말할 수 있는 기득권 세력들...

본격적으로 토호의 입김이 강해진 것은 1995년 지방자치제 시행 이후부터란다. 당장 지자체 의회 의원이나 지자체장은 어지간한 대도시가 아닌 이상은 토호가 아니면 당선되기부터가 어려웠으니 각종 지방 우대정책의 최대수혜를 입은 것도 지역의 토호세력이 아닐까? 거기에다 토호세력과 언론이 결탁하면 극약이나 마찬가지가 되는 것이다니 말이다.

좁은 지역사회의 배경을 거닐며 권력에 비판의 날을 세운 언론사의 기자들은 해직되거나 숱한 소소한 언론사가 폐간되어 갈 때, 권력에 영합해 살아남은 일을 자랑하는 뻔뻔함과, 이 밝고 달라진 세상에서 부끄러워하지 않는 배짱은 뭐... 

필자도 인정한다. 하지만 이 시대에도 지난 시절의 논리를 끌어와 소소한 신문이나 전통 없는 신생 신문은 다 없어져야 한다며 인정 할 수 없다는 생각을 갖은 원로 신문...

참말로 위험하고 참혹한 발상이지 아니한가? 지난 독단적 시절의 언론을 그리워하는 심경은 이해하지만, 변하는 세상을 인정하지 못하는 어리석지 않은 일이 아닐 수 없다. 참 언론은 예나 지금이나 사실에 근거한 견제와 비판 이여야 하지 않을까?

 좋은 기사를 신문에 보도하면 발행 부수와 관계없이 인터넷을 통해 국내는 물론 전 지구촌으로 알려지는 시대에 오로지 원로언론사라는 이유로 경로 우대를 해주어야 하는가?

그저 아프지 않을 정도만 건드리는 피상적 보도만이 남은 원로 신문의 현실에서 종이를 몇장이나 허비하는지 셈하는 일이 무의미를 넘어 낭비가 아닐는지...  지역의 언론 환경이 이렇다 보니 고발이나 비판 기사에 대한 ‘후속 보도가 잘 나오지 않는 것 아닐까? 속된 말로 ’한번 물었다 하면 놓지 않고 뽕을 빼주는 기사‘가 드물지 않은가,,,

그도 그럴 것이 세상사의 옳고 그름을 말과 글로 따지고 밝히는 언론의 필요성은 더 말할 나위 없을 것이나 정치집단이나 기관 단체들은 자신들의 일을 이러쿵저러쿵 따지는 시시비비, 언론사를 꺼리기일수니 원로언론의 뜨뜻 미지근한 보도도 이해 못 하는 건 아니다. 

“기자만 없으면 정치도 해 먹을만하다.” 라고 했던 오래전 어떤 정치인의 말이 어렴풋이 생각나니 웃프다.

신문과 방송, 인터넷 등의 모든 언론과 기자들이 본디 자세로 돌아가야 할 시점이다. 이제 언론이 발을 달아 내 달리고 있는 시대이니,,, 예전 시대의 언론을 그리워하는 망상은 고이 접어 두시게나~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