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2025.04.03 (목)

  • 맑음속초8.3℃
  • 맑음7.7℃
  • 맑음철원9.5℃
  • 맑음동두천9.1℃
  • 맑음파주9.4℃
  • 구름많음대관령4.2℃
  • 맑음춘천7.5℃
  • 맑음백령도9.2℃
  • 구름많음북강릉8.6℃
  • 구름많음강릉8.7℃
  • 구름많음동해10.4℃
  • 맑음서울11.3℃
  • 맑음인천8.7℃
  • 구름조금원주7.2℃
  • 구름많음울릉도8.3℃
  • 맑음수원10.3℃
  • 구름조금영월6.8℃
  • 구름많음충주6.0℃
  • 맑음서산9.9℃
  • 구름많음울진10.3℃
  • 박무청주6.0℃
  • 맑음대전10.7℃
  • 맑음추풍령8.6℃
  • 맑음안동9.2℃
  • 구름많음상주4.5℃
  • 흐림포항10.9℃
  • 구름많음군산9.1℃
  • 구름조금대구9.5℃
  • 구름조금전주10.2℃
  • 구름많음울산10.1℃
  • 구름조금창원12.0℃
  • 구름조금광주11.3℃
  • 구름조금부산12.3℃
  • 맑음통영11.8℃
  • 흐림목포8.1℃
  • 맑음여수10.1℃
  • 흐림흑산도8.1℃
  • 구름조금완도11.2℃
  • 구름조금고창10.1℃
  • 맑음순천9.8℃
  • 맑음홍성(예)9.9℃
  • 맑음7.0℃
  • 구름조금제주12.0℃
  • 구름많음고산9.5℃
  • 구름조금성산11.3℃
  • 맑음서귀포14.5℃
  • 맑음진주11.3℃
  • 맑음강화9.7℃
  • 구름많음양평5.4℃
  • 흐림이천4.7℃
  • 맑음인제7.9℃
  • 맑음홍천8.0℃
  • 구름많음태백5.4℃
  • 구름조금정선군7.6℃
  • 맑음제천5.7℃
  • 맑음보은7.2℃
  • 맑음천안7.9℃
  • 구름많음보령10.4℃
  • 구름조금부여9.9℃
  • 맑음금산9.3℃
  • 맑음9.0℃
  • 구름많음부안10.8℃
  • 구름조금임실10.3℃
  • 구름조금정읍10.3℃
  • 맑음남원10.7℃
  • 맑음장수8.9℃
  • 구름조금고창군9.4℃
  • 구름많음영광군9.4℃
  • 맑음김해시11.3℃
  • 맑음순창군10.7℃
  • 구름조금북창원11.3℃
  • 구름조금양산시12.2℃
  • 맑음보성군11.0℃
  • 구름많음강진군10.7℃
  • 구름많음장흥11.7℃
  • 구름많음해남9.0℃
  • 구름조금고흥13.0℃
  • 구름조금의령군11.4℃
  • 맑음함양군10.5℃
  • 맑음광양시13.3℃
  • 흐림진도군8.2℃
  • 구름조금봉화8.7℃
  • 맑음영주8.9℃
  • 맑음문경8.0℃
  • 구름많음청송군10.8℃
  • 구름많음영덕11.7℃
  • 구름조금의성9.1℃
  • 구름조금구미8.5℃
  • 구름많음영천8.7℃
  • 구름많음경주시10.3℃
  • 맑음거창9.4℃
  • 맑음합천10.6℃
  • 맑음밀양10.6℃
  • 구름조금산청10.0℃
  • 맑음거제10.5℃
  • 맑음남해10.0℃
  • 맑음12.8℃
기상청 제공
[어바웃 아젠다 no.12] 자본·권력 감시의 고삐를 쥐어주세요.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바웃 아젠다 no.12] 자본·권력 감시의 고삐를 쥐어주세요.

KakaoTalk_20221006_153514089.png

이 글은 장르가 영업이라 생각하셔도 됩니다. 불특정 다수에게 비용을 청구하니 말입니다. 그 명분은 이익이 아닙니다. 지역의 가치와 연대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염치는 없습니다. 하지만, 더한 몰염치는 군민 주주 신문 정체성과 가치가 흔들리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일주일에 한 번, 모두 10회에 걸쳐 어바웃영광의 후원 이야기를 드리고자 합니다.

‘어바웃영광’은 군민 한명 한명의 뜻을 모아 빚어진 매체입니다. 애초에 자본과 권력이 사유할 수 없는 구조로 만들었습니다. 지금까지 그 기반을 지켰다는 것이 저희 신문의 자랑이며 명예입니다. 하지만 태생과 달리 유지와 성장을 다그칠 고삐는 점점 군민의 손을 떠나고 있습니다.

‘어바웃영광’ 매출 대부분은 독자 손을 떠난 영역에서 나옵니다. 어림잡아 90% 이상 입니다. 매출이 나오는 곳, 즉 광고·사업을 주는 의사 결정권자는 지역사회 기득권입니다. 따지고 보면 이들은 거래 대상이 아니라 감시·견제할 대상이기는 하지요.

자본과 권력은 이 상황을 아주 잘 압니다. 걸핏하면 불편한 언론에 고삐를 걸고 조여서 당기려 하지요. 꽤 오래 몸부림치고 있으나 움켜쥐려는 손을 뿌리치지 못한다면 결국 길들여 지기 마련입니다. 시간 문제일 뿐이지요.

‘어바웃영광’을 끌고 갈 고삐를 쥐어야 할 주체는 군민입니다. 가야 할 길에서 벗어나거나 가지 말아야 할 길로 향하지 않도록 콱 움켜쥐어 줘야겠지요. 

‘어바웃영광’ 유지와 성장은 기득권 이익과 기분이 아니라 군민이 내리는 가치 판단에 의지하고자 합니다. 그 판단에서 비롯한 지지와 후원이야 말로 군민이 고삐를 쥐는, 더디지만 가장 확실한 방법이겠지요.

우리에겐 서운한 얘기지만 언론은 없다고 합니다. 기자는 쓰레기와 묶여 불리는 혐오 대상이지요. 제대로 된 언론, 저널리즘에 헌신하는 기자는 드물기 마련입니다. 언론다운 언론, 기자다운 기자가 없는 사회에서 군민은 더 소외되기 마련입니다.

더 나은 지역사회 만들기에 진심은 언론이 있습니다. 저널리즘에 진심인 기자도 있습니다. 그 진심이 우리 영광군민에게 닿지 않는다고 여길 때 언론도 기자도 외롭습니다.

부조리에 맞서는 당당한 군민, 아프고 서러운 이웃이 외롭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이왕이면 힘을 얻는 동반자로 ‘어바웃영광’을 떠올리기를... 그 믿음을 쌓는다면 서로 고립되는 일은 없겠지요. 2004년 첫 받을 내 디디던 두려운 마음으로 더 나은 지역사회를 위한 연대를 요청합니다.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