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늦어지는 공정에 안전절차 무시
경험 없는 관리자에 교육마저 미흡
제어봉시험 직원들의 장시간 근무도 원인
원안위의 특별조사 중간 발표를 취재하기 위해 모인 언론사들의 취재모습
결국 인재 였다. 생산성 중심의 조직문화에 안전은 뒷전이었다. 지난 6월 24일 원안위가 한빛1호기 사건 특별조사 중간결과를 발표 했다. 원인은 인재였다. 원안위는 제어봉의 능력을 검증하는 시험이 중요한 절차임에도 한수원이 안전 절차를 무시했다며 조사 결과를 발표 했다. 원안위는 조사 결과, 계획 예방정비 후 원전 기동공정의 경우 24시간 연속 수행 되고 있으며 교대근무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대된 발전팀에게 안전에 필요한 작업전회의 없이 공정 지연이 주요사항으로 전달 되는 등 계획된 공정 준수가 중요시 되는 관행이 확인되었음을 밝혔다. 또한, 사고 당시 근무조의 원자로 차장이 계획 예방정비 기동 운전 경험이 없었고 사고 순간 올바른 판단을 내려야하는 상황에서 반응도 계산조차 틀리게 하고 동료점검도 없어 반응도 계산의 정확한 재검토도 이뤄 지지 않는 것이 확인 됐다. 기준치 5%를 넘어지만 즉각 수동중단을 하지 않았던 이유도 인적 오류였다. 당시 원전차장등은 원자로 내부 열출력값이 아닌 2차계통의 열출력값이 –1.05%였다고 주장 했지만 조사 결과 2차 측 열출력값도 5%를 초과 한 사실이 확인 되었다. 원안위 특별조사단은 사건 당시 제어봉의 과도한 인출경위, 열출력 급증에 따른 핵연료 건정성, 제어봉 구동설비의 안전성, 원안법 위반 등 미비 사항에 집중 조사하고 있다.
▶ 핵연료 건전성 확인 결과
원자로냉각재 내 핵연료 손상시 발생하는 제논(Xe), 크 립톤(Kr), 요오드(I) 등의 방사능 준위변화를 확인한 결과 핵연료 손상의 징후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제어봉설비의 건전성 확인 결과
5월 10일 실시한 제어봉 제어능 시험 초기에 발생한 제어군 B내 두 그룹간 2단 위치편차는 제어봉 조작자의 조작 미숙에 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나, 제어봉 구동장치가 건전한지 추가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향후 원자로 헤드를 열고 제어봉 구동장치에 대한 육안점검도 추진 할 계획이다.
주간 베스트 뉴스 Top 10
주간 베스트 뉴스 Top 10
- 1영광군, 이언주 민주당 최고위원에 명예군민증 수여
- 2장세일 영광군수, 인구문제 인식개선 릴레이 캠페인 동참
- 3영광군의회, 제10회 의원간담회 개최
- 4검찰, 장세일 영광군수 ‘재산신고 누락’ 무혐의 처분
- 5영광군, 물무산 행복숲 맨발황톳길 개장
- 6외국인 계절근로자 인권은 영광군이 지킨다!
- 7영광군, 질병정보 모니터 요원 역량강화 교육 실시
- 8영광작은영화관 영화상영 안내(4월 1주차)
- 9영광군노인복지관, 2024년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시설 평가 A등급 선정
- 10“청년들도 외친다”…‘윤 대통령 탄핵 촉구’ 시위 나선 영광군 20·30 청년들
게시물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