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요즘 "언론사 홍수", "기자 공해"라는 세인들의 말을 인정이라도 하듯 비양심적인 지역 사이비기자들이 있어 사람들의 따끔한 눈총과 손가락질의 대상이 되고 있다.
신문의 문제점을 들여다보면 일부 시·군·구의 주재기자들이 기자증을 구입하고 보도자료를 한치 수정도 없 이 전문기자 행세를 하고, 사업을 이끌어가면서 세금을 축내는 것을 문제라고 지적하고 싶다.
언론사가 많은 것은 민주주의에 바람직한 일이지만, 사이비 같은 기자가 많아지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
이런 사이비기자들이 계속 나오고 있는 것은 비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신문 매체들이 난립하고 있기 때문 이다.
신문사는 광고와 독자들의 구독료 등으로 운영되는데 현재 많은 신문이 이러한 정상적인 구조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어, 소속 기자들은 광고영업이나 독자를 증원 하는데 직접 뛰어들고 있는게 현실이다. 또한, 기자들의 부도덕한 양심도 지역의 사이비 기자를 만들어 내고 있는 원인 중의 하나다.
무엇보다도 기자들의 윤리 의식과 기자정신이 필요할 때다 기자란, 스스로 확고한 윤리관을 확립함으로써 저널 리스트의 사회적 직분과 책임을 다해야한다 취재 보도 과정에서 제기되는 윤리문제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수 있기란 사실 쉬운게 아니다. 이에 따라 많은 언론기관들이 자율적인 윤리강령을 만들고 활동의 행동수칙으로 삼고 있으나 윤리강령 또한 추상적이고 구체성이 결여돼 있으며 세부적인 실천요강이 미흡하 다고 지적되고 있다.
중요한것은 윤리강령 그 자체가 아니라 기자들이 과연 윤리문제를 어떻게 인식하 고 있고 이를 실천할 의지가 있는가 하는점이다.
불특정 다수인 대중에게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언론이 라면, 언론은 그 자체로서 공익성을 띤다.
언론의 글과 말은 대중에게 '영향력'으로 다가간다. 영향력 자체가 하나의 공적인 관계를 의미하기 때문에 언론은 사회적인 책임이 있다.
따라서 언론은 이러한 사회적 책임을 지고 공공의 이익과 정의에 부합하는 그리고 인권을 침해하지 않으며 사실에 기반을 두는 내용으로 기사를 대중에게 전달하여야 한다. 그렇지않으면 쓰레기 기사가 되는것이다. 기자가 기레기가 되는건 이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몰지각한 사이비 기자들 때문에 지역 언론 발전을 위하여 양심적으로 활동하는 많은 기자마저 사이비 기자로 취급받는 것이 아쉽다. 지역민이 더럽다고 피하는 언론인이 아니라 지역민이 정확한 사실 정보를 받고 고마워할 수 있는 언론 인이 되어야 할 것이다.
사주의 이익과 자신의 권익을 추구하기 위해 존재하는 사이비 기자들이 아니라 정론을 펴는 진정한 저널리스 트가 되어야 할 것이다. 자신을 스스로 돌아보고 자신을 반성하지 못하면서 무엇을 비판할 것인가?
아무데나 불쑥불쑥 들어가서 마구 헤집는 취재 방식을 벗어나 좀 더 노력하고, 섬세한 취재로 지역민에 호평을 받는 참 기자들을 보고 싶다.
주간 베스트 뉴스 Top 10
주간 베스트 뉴스 Top 10
- 1영광군, 이언주 민주당 최고위원에 명예군민증 수여
- 2장세일 영광군수, 인구문제 인식개선 릴레이 캠페인 동참
- 3영광군의회, 제10회 의원간담회 개최
- 4영광군, 물무산 행복숲 맨발황톳길 개장
- 5외국인 계절근로자 인권은 영광군이 지킨다!
- 6영광군, 질병정보 모니터 요원 역량강화 교육 실시
- 7검찰, 장세일 영광군수 ‘재산신고 누락’ 무혐의 처분
- 8영광작은영화관 영화상영 안내(4월 1주차)
- 9영광군노인복지관, 2024년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시설 평가 A등급 선정
- 10“청년들도 외친다”…‘윤 대통령 탄핵 촉구’ 시위 나선 영광군 20·30 청년들
게시물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