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청년 정책을 두고 흔히 책상머리 정책이라는 비판이 잦다.
최근 영광군 청년센터에서는 이를 극복하고 현장 이야기를 직접 듣기 위해 청년 정책 공모전등 다양한 시도와 움직임이 보이는 중...
이를 함께 이야기 하고 논한다하니... 결과야 두고 볼 일이지만 이 또한 반가울 따름...
청년들의 정책제안을 듣기이해 지역 청년들에게 확장하여 귀를 연건 이번이 처음인 듯.
아무튼 긍정의 움직임이다.
영광에 살아가는 청년으로서, 접촉하는 대부분의 지인들에게 고충을 물으면 일자리와 고용 문제를 꼽는 듯...
필자의 지인 대부분은 우리 지역 청년이다. 필자가 우리 지역을 떠나지 않고 정착하며 겪어낸 수많은 고충과 문화적 상대적 박탈을 지금 영광군의 20대들이 겪는 것을 원치 않는다. 허나 되돌이표를 반복하고 있는 듯...
영광군에서 태어나고 자라 20년을 살다 서울에서 대학생활을 4년정도 한 필자의 조카는 여전히 영광을 그리워하여 영광에서 정착하길 희망한다. 거기에 걱정을 얹어서 말이다.
영광에 정착하는 것이 무엇이 두렵니? 라고 물었더니 관이 주도하는 청년 정책에 대한 인식이 일단 별로란다. 서울에서의 문화생활의 향유를 그리워 하게 될거라면서...
그것뿐이냐고 묻자 고용이나, 창업, 주거, 문화와 여가 생활 모든 전반에 대한 것이 있을 것이라 푸념을 늘어놓는다.
그렇다. 최근 한 지역에서 실시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들은 청년 정책에서 가장 우선해야 할 문제에 대해 일자리·고용(40.5%)이라고 답했으며, 다음으로 주거(15.6%) 및 문화·예술·체육(14.1%)이라고 답했다. 청년들이 희망하는 취업 분야는 경영·사무(44.4%)가 가장 많았으며, 가장 희망하는 창업 분야는 숙박·요식업(29.9%)이었고, 교육·서비스업(16.8%), 제조업(12.6%)이었다.
일자리 선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임금수준(28.6%)이라는 답이 우세했고 다음으로 일과 삶의 균형(23.8%), 고용안정성(20.8%) 순이었다. 청년들이 지방자치단체에 희망하는 지원책으로는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위한 의료비 지원(27.8%), 운동 시설 확대(26.5%)가 주류를 이뤘고, 문화 및 여가 활동을 위해 필요한 정책은 문화·예술 창작 공간의 확대(34.1%)라는 답이 나왔다. 청년들을 위한 축제에서 가장 희망하는 행사로는 각종 전시·공연 프로그램(52.1%), 체험부스 운영 및 참여(24.8%), 유명인 토크쇼(12.5%) 순이었다. 무엇보다 청년들은 지역에서 문화·예술 프로그램, 전시회, 시사·인문학 특강 등이 활발하게 이뤄지길 희망했다.
이번에 이뤄지는 청년들의 목소리를 담은 정책제안대회가 소수의 기득권 청년들이 아닌 영광군 청년 모두가 참여하고 계획할 수 있는 롤 모델이 되길 바랄 뿐...
청년들은 영광의 미래를 이끌 주역이지만 도전과 희망보다는 포기와 고통에 익숙한 세대가 되고 있다.
핵심은 실질적인 대책이다. 일자리나 주거, 복지 등 다양한 대책은 물론 필요하다.
하지만 그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청년들이 자유롭게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일이 아닐까?
그 바탕이 청년층의 마음을 읽는 일이기에 이번 청년제안정책대회가 그 출발이 되는 길이길... 책상 머리 대책이 아닌 실질적인 대책이 기대되는 이유다.
주간 베스트 뉴스 Top 10
주간 베스트 뉴스 Top 10
- 1검찰, 장세일 영광군수 ‘재산신고 누락’ 무혐의 처분
- 2“청년들도 외친다”…‘윤 대통령 탄핵 촉구’ 시위 나선 영광군 20·30 청년들
- 3굴비골농협 지자체 협력사업 밭 토양개량제 지원 확정
- 4영광군,‘2025년 전남(농촌)에서 살아보기’참가자 모집
- 5영광군, 힐링승마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 6군서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 군서면 어르신과 함께하는 「동행, 행복나들이」 실시
- 7묘량면, 「정성 가득 건강 두 배 반찬 꾸러미 지원」특화 사업 첫 걸음
- 8윤석열 탄핵심판, “8대 0 파면은 주권자의 명령”
- 9영광군,‘소나무 지키기 총력전’군수 직접 방제 현장 진두지휘
- 10영광군, 불만 및 특이민원 응대 민원담당자 교육 실시
게시물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