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상세페이지
[어바웃 아젠다 no.12] 자본·권력 감시의 고삐를 쥐어주세요.
기사입력 2022.10.07 11:22 | 조회수 4,639이 글은 장르가 영업이라 생각하셔도 됩니다. 불특정 다수에게 비용을 청구하니 말입니다. 그 명분은 이익이 아닙니다. 지역의 가치와 연대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염치는 없습니다. 하지만, 더한 몰염치는 군민 주주 신문 정체성과 가치가 흔들리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일주일에 한 번, 모두 10회에 걸쳐 어바웃영광의 후원 이야기를 드리고자 합니다.
‘어바웃영광’은 군민 한명 한명의 뜻을 모아 빚어진 매체입니다. 애초에 자본과 권력이 사유할 수 없는 구조로 만들었습니다. 지금까지 그 기반을 지켰다는 것이 저희 신문의 자랑이며 명예입니다. 하지만 태생과 달리 유지와 성장을 다그칠 고삐는 점점 군민의 손을 떠나고 있습니다.
‘어바웃영광’ 매출 대부분은 독자 손을 떠난 영역에서 나옵니다. 어림잡아 90% 이상 입니다. 매출이 나오는 곳, 즉 광고·사업을 주는 의사 결정권자는 지역사회 기득권입니다. 따지고 보면 이들은 거래 대상이 아니라 감시·견제할 대상이기는 하지요.
자본과 권력은 이 상황을 아주 잘 압니다. 걸핏하면 불편한 언론에 고삐를 걸고 조여서 당기려 하지요. 꽤 오래 몸부림치고 있으나 움켜쥐려는 손을 뿌리치지 못한다면 결국 길들여 지기 마련입니다. 시간 문제일 뿐이지요.
‘어바웃영광’을 끌고 갈 고삐를 쥐어야 할 주체는 군민입니다. 가야 할 길에서 벗어나거나 가지 말아야 할 길로 향하지 않도록 콱 움켜쥐어 줘야겠지요.
‘어바웃영광’ 유지와 성장은 기득권 이익과 기분이 아니라 군민이 내리는 가치 판단에 의지하고자 합니다. 그 판단에서 비롯한 지지와 후원이야 말로 군민이 고삐를 쥐는, 더디지만 가장 확실한 방법이겠지요.
우리에겐 서운한 얘기지만 언론은 없다고 합니다. 기자는 쓰레기와 묶여 불리는 혐오 대상이지요. 제대로 된 언론, 저널리즘에 헌신하는 기자는 드물기 마련입니다. 언론다운 언론, 기자다운 기자가 없는 사회에서 군민은 더 소외되기 마련입니다.
더 나은 지역사회 만들기에 진심은 언론이 있습니다. 저널리즘에 진심인 기자도 있습니다. 그 진심이 우리 영광군민에게 닿지 않는다고 여길 때 언론도 기자도 외롭습니다.
부조리에 맞서는 당당한 군민, 아프고 서러운 이웃이 외롭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이왕이면 힘을 얻는 동반자로 ‘어바웃영광’을 떠올리기를... 그 믿음을 쌓는다면 서로 고립되는 일은 없겠지요. 2004년 첫 받을 내 디디던 두려운 마음으로 더 나은 지역사회를 위한 연대를 요청합니다.
주간 베스트 뉴스 Top 10
주간 베스트 뉴스 Top 10
- 1검찰, 장세일 영광군수 ‘재산신고 누락’ 무혐의 처분
- 2“청년들도 외친다”…‘윤 대통령 탄핵 촉구’ 시위 나선 영광군 20·30 청년들
- 3영광군,‘2025년 전남(농촌)에서 살아보기’참가자 모집
- 4굴비골농협 지자체 협력사업 밭 토양개량제 지원 확정
- 5영광군, 힐링승마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 6군서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 군서면 어르신과 함께하는 「동행, 행복나들이」 실시
- 7윤석열 탄핵심판, “8대 0 파면은 주권자의 명령”
- 8묘량면, 「정성 가득 건강 두 배 반찬 꾸러미 지원」특화 사업 첫 걸음
- 9영광군,‘소나무 지키기 총력전’군수 직접 방제 현장 진두지휘
- 10영광군, 불만 및 특이민원 응대 민원담당자 교육 실시
게시물 댓글 0개